•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1 )
    1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2 )
    2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3 )
    3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4 )
    4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5 )
    5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6 )
    6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7 )
    7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8 )
    8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9 )
    9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10 )
    10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11 )
    11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12 )
    12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13 )
    13



  • ̸
    13 Pg
    մϴ.
Ŭ : ũԺ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1 )
    1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2 )
    2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3 )
    3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4 )
    4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5 )
    5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6 )
    6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7 )
    7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8 )
    8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9 )
    9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10 )
    10




  • (ū ̹)
    ̸
    10 Page
    մϴ.
Ŭ : ݱ
X ݱ
巡 :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

레포트 > 기타 ٷΰ
ã
Ű带 ּ
( Ctrl + D )
ũ
Ŭ忡 Ǿϴ.
ϴ ֱ ϼ
( Ctrl + V )
 : 조선건국의 주체세력에 관하여.hwp   [Size : 60 Kbyte ]
з   13 Page
  1,000

īī ID
ٿ ޱ
ID
ٿ ޱ
̽ ID
ٿ ޱ


ڷἳ

조선건국의 주체세력 형성과 분열과정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조선건국의주체세력에관하여
/

1. 서 언 1

2. 여말의 정세 1

1) 여말의 대내적 상황 1

① 정치적 상황 1

② 사회적 상황 2

③ 불교의 폐단과 성리학의 대두 2

2) 여말의 대외적 상황 3

① 원·명교체기 3

② 홍건적 침입 4

③ 왜구의 침입 4

3. 주체세력의 형성 4

1) 이성계의 가족집단 5

2) 동북면 지방을 중심으로 한 무인집단 6

3) 권문세족 및 신진사대부집단 7

① 권문세족 7

② 新進士大夫 집단 9

4. 건국주체세력의 분열 10

1) 표전문제에 따른 공신집단의 분열 10

2) 요동정벌에 따른 공신집단의 분열 11

3) 왕자의 난에 따른 공신집단의 분열 11

5. 결 논 - 개국주체세력의 소멸 - 12

/

1. 서 언

朝鮮建國過程에서 나타난 政治支配勢力의 變動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두가지 觀點이 제시되어 왔다. 그것은 朝鮮建國過程에서 支配勢力의 變化 등을 包含하여 그 變化가 컸다고 보는 見解이고, 다른 하나는 高麗後期 世族層 大部分이 朝鮮建國 以後에도 支配勢力으로서의 地位를 維持하고 있다는 점에서 支配勢力의 變化와 社會變化가 없다는 側面을 强調하는 見解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支配層이 變化의 폭이 컸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注目하기보다는 그 主體勢力이 누구였는가 하는 점에 注目하고자 한다. 따라서 李成桂의 家族集團, 東北面 地方을 中心으로 한 武人集團, 權門世族과 新進士大夫를 朝鮮建國의 主體勢力으로 설정하여 그들을 中心으로 朝鮮建國의 主體勢力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朝鮮 建國初에 鄭道傳을 中心으로 하는 主體勢力들은 소수의 宰相爲主의 政治를 실시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는 李芳遠을 中心으로 한 宗親勢力과 權力의 정점에서 소외된 多數의 功臣들을 結合시켜 王權 中心의 政治를 追求하고자 한 太宗(李芳遠)의 의도에 따라 除去되었다. 그 代表的인 事件이 太祖 7年에 일어난 제 1 차 王子의 亂이다.
이러한 事件으로 대변되는 功臣들의 除去와 죽음과 같은 自然的 消滅 그리고 功臣集團의 自體分裂로 인하여 그 勢力이 急速히 衰退하였다


【參考書籍】

1. 한국사연구회,『韓國史硏究入門』, 지식산업사(1987).
2.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韓國史特講』, 서울대학교출판부(1990).
3. 邊太燮,『韓國史通論』, 三英社(1999).
4. 李基白,『韓國史新論』, 一潮閣(1995).
5. 한영우,『다시찾는 우리역사』, 경세원(1996).
6. 朴龍雲,『高麗時代史』, 一志社(1988).
7. 李相伯,『李朝建國의 硏究』, 乙酉文化社(1984).
8. 이성무,『朝鮮初期 兩班硏究』, 一潮閣(1980).
9. ━━━,『朝鮮의 社會와 思想』, 一潮閣(1999).
10. 李達淳,『朝鮮王朝 政治硏究』, 三益學園出版部(1990).
11. 國史編纂委員會,『韓國史論 3, - 朝鮮前期 -』, 國史編纂委員會(1986).
12. ━━━━━━━,『한국사 8, - 고려후기의 사회와 문화 -』, 國史編纂委員會(1984).
13. ━━━━━━━,『한국사 9, -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國史編纂委員會(1984).
14. ━━━━━━━,『한국사 19, - 고려후기의 정치와 경제 -』, 國史編纂委員會(1996).
15. ━━━━━━━,『한국사 20, - 고려 후기의 사회와 문화 -』, 國史編纂委員會(1994).
16. ━━━━━━━,『한국사 22, -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國史編纂委員會(1995).

【參考論文】

1. 鄭相基,「朝鮮開國功臣의 分裂에 대하여」, 朝鮮大學校(1991).
2. 文炯萬,「朝鮮王朝 建國의 硏究」, 東亞大學校(1982)
3. 金光哲,「麗末鮮初 世族層의 동향」『釜山史學 35』(1998).
4. 鄭杜熙,「朝鮮初期 三功臣 硏究, - 그 社會的 背景과 政治的 役割을 중심으로」『역사학보 75·76』(1977).
5. 朴天植,「朝鮮 開國功臣에 對한 一考察, - 冊封 過程과 待遇를 中心으로 -」『全北史學 1』(1977).
6. ━━━,「朝鮮建國의 政治勢力 硏究(상)(하), - 開國功臣 李和錄券을 中心으로 -」『全北史學 8』(1984·5).
7. 鄭在勳,「朝鮮王朝 建國過程에서의 舊勢力」『考古歷史學志 2』(1986).

【史料】
1. 國譯 朝鮮王朝實錄


ڷ
ID : jmkh*****
Regist : 2014-04-13
Update : 2014-04-13
FileNo : 16202084

ٱ

연관검색(#)
조선건국   주체세력  


ȸҰ | ̿ | ޹ħ |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걸 326-6, 201ȣ | ä | : 0561ȣ
Copyright ÷Ʈ All rights reserved | Tel.070-8744-9518
̿ | ޹ħ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Tel.070-8744-9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