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1 )
    1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2 )
    2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3 )
    3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4 )
    4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5 )
    5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6 )
    6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7 )
    7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8 )
    8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9 )
    9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10 )
    10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11 )
    11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12 )
    12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13 )
    13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14 )
    14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15 )
    15



  • ̸
    15 Pg
    մϴ.
Ŭ : ũԺ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1 )
    1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2 )
    2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3 )
    3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4 )
    4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5 )
    5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6 )
    6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7 )
    7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8 )
    8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9 )
    9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10 )
    10




  • (ū ̹)
    ̸
    10 Page
    մϴ.
Ŭ : ݱ
X ݱ
巡 :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

레포트 > 예체능 ٷΰ
ã
Ű带 ּ
( Ctrl + D )
ũ
Ŭ忡 Ǿϴ.
ϴ ֱ ϼ
( Ctrl + V )
 :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겸재의 진경산수화 연구 ― 고유섭의 견해를 바탕으로.hwp   [Size : 138 Kbyte ]
з   88 Page
  3,000

īī ID
ٿ ޱ
ID
ٿ ޱ
̽ ID
ٿ ޱ


ڷἳ
동·서양화의 양식 구별을 예술의욕의 관점으로 본 고유섭의 시각을 확대 해석하여 한국 전통회화에 적용시켜 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의 범위를 독특한 한국적 화풍을 성공적으로 이루었다고 평가받는 겸재(謙齋)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畫)에 한정하여 그 예술의욕과 시양식(視樣式)을 고찰해 봄으로써, 그 안에 내포된 한국성을 찾고자 한다. 또한 나아가서는 궁극적으로 한국회화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발견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적 가능성의 단초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예술의욕의관점에서본
/

1. 서 론

1) 연구목적 및 연구범위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2. 예술의욕(Kunstwollen)의 일반개념

1) 예술의욕의 일반개념

2) 동양예술에 있어 표현근원으로서의 입의(立意)

3) 예술의욕(Kunstwollen)과 입의(立意)

3. 겸재(謙齋) 진경산수화의 예술의욕

1) 동양회화 일반의 예술의욕: 자연관

2) 겸재(謙齋) 진경산수화의 예술의욕

(1) ‘진경(眞景)’의 의미

(2) 겸재 진경산수화의 예술의욕

3) 예술의욕으로 본 한국회화의 정체성

4. 예술의욕으로 본 겸재 진경산수화의 시양식(Sehform)

1) 동양회화 일반의 시양식

(1) 운동태의 출발로서의 선(線)

(2) 확대지향적 공간으로서의 삼원법(三遠法)

(3) 또 다른 운동태 양식으로서 담채(淡彩)와 태점(苔點)

2) 겸재 진경산수화의 시양식(Sehform)

(1) 중묵필세(重墨筆勢)의 표현

(2) 축약된 공간 구성

3) 겸재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한국회화의 정체성

5. 결 론

/
3장에서는 고유섭이 동양화 일반에 있어 예술의욕의 근본으로 지적한 운동의 경향태로서의 자연관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겸재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고유한 예술의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한국회화의 정체성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적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4장에서는 예술의욕의 관점에서 본 동양회화 일반의 시양식(Sehform)을 고유섭의 관점을 근거로 살펴보고, 그것과 비교해 겸재(謙齋) 진경산수화의 독특한 시양식을 표현기법과 구성 면에서 찾아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우선 고유섭의 〈동양화와 서양화와의 구별〉이라는 글을 논지(論旨)의 주된 자료로 삼았으며, 논제와 관련된 미학·예술론 일반 관련 개념들과 동양의 전적들은 본 논문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이미 발표된 문헌이나 연구 논문들에 게재된 자료들을 근거로 하여 그 출처를 확인하는 방법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2. 예술의욕(Kunstwollen)의 일반개념
고유섭을 위시해서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이 조형예술을 통해 한국의 미(美)를 탐구하고 각각의 양식적 특색을 규명해 오면서, 거기에 투영된 미의식(美意識)이나 예술정신을 파헤치려는 노력은 조금씩 있어 왔다. 즉 한국인의 독자적인 미의식을 통해 전체 혹은 부분적인 예술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미의식은 미적인 것을 수용하고 또 산출할 때 작용하는 의식으로서, 미적 관조와 예술 창작의 측면을 모두 포괄한다. 따라서 미의식 속에 이미 예술의욕이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양화와 서양화와의 구별〉에서 고유섭(高裕燮, 1905-1944)이 회화양식에 있어 동·서양의 차별성을 제시한 본질적인 근거는 예술의욕(Kunstwollen)이었다. 그리고 고유섭의 관점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회화양식의 의미해석에 대한 근거로서 예술의욕을 적용하였다. 그것은 양식의 기초개념으로서의 예술의욕이 일반미학에서 이미 체계적으로 개진되어 왔으며, 미의식에 비해 보다 표현에 가까운 능동적이고 작용 동기적 개념이라…(생략)
고유섭 저, 《한국미술문화사론총》, 통문관, 1983, 서울.
ꠏꠏꠏꠏꠏꠏꠏꠏ 《한국미술사급미학논고》, 통문관, 1983, 서울.
ꠏꠏꠏꠏꠏꠏꠏꠏ 《한국미의 산책》, 동서문화사, 1977, 서울.
권덕주 저, 《중국미술사상에 대한 연구》[중국문화총서: 1],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82, 서울.
김병종 저, 《중국회화의 조형의식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서울.
김용옥 저, 《석도화론》, 통나무, 1992, 서울.
김원룡 저, 《한국미의 탐구》, 열화당: 한국문화예술총서 1, 1996, 서울.
김종태 저, 《동양회화사상》, 일지사, 1993, 서울.
ꠏꠏꠏꠏꠏꠏꠏꠏ 《한국화론》, 일지사, 1992, 서울.
박선규 저, 《산수화와 그 정신》, 신원, 1998, 서울.
박용숙 저, 《한국화의 세계》,일지사, 1975, 서울.
박은순 저, 《금강전도 연구》, 일지사, 1997, 서울.
안휘준 저, 《한국회화의 전통》, 문예출판사, 1990, 서울.
유흥준 저, 《조선시대 화론 연구》, 학고재, 1998, 서울. ...


ڷ
ID : cjjj******
Regist : 2015-08-20
Update : 2015-08-20
FileNo : 16163481

ٱ

연관검색(#)
예술의욕   관점   겸재   진경산수화   연구   고유섭   견해   바탕으로  


ȸҰ | ̿ | ޹ħ |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걸 326-6, 201ȣ | ä | : 0561ȣ
Copyright ÷Ʈ All rights reserved | Tel.070-8744-9518
̿ | ޹ħ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Tel.070-8744-9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