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1 )
    1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2 )
    2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3 )
    3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4 )
    4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5 )
    5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6 )
    6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7 )
    7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8 )
    8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9 )
    9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10 )
    10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11 )
    11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12 )
    12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13 )
    13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14 )
    14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15 )
    15



  • ̸
    15 Pg
    մϴ.
Ŭ : ũԺ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1 )
    1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2 )
    2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3 )
    3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4 )
    4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5 )
    5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6 )
    6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7 )
    7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8 )
    8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9 )
    9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10 )
    10




  • (ū ̹)
    ̸
    10 Page
    մϴ.
Ŭ : ݱ
X ݱ
巡 :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

레포트 > 인문사회 ٷΰ
ã
Ű带 ּ
( Ctrl + D )
ũ
Ŭ忡 Ǿϴ.
ϴ ֱ ϼ
( Ctrl + V )
 :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hwp   [Size : 74 Kbyte ]
з   34 Page
  3,000

īī ID
ٿ ޱ
ID
ٿ ޱ
̽ ID
ٿ ޱ


ڷἳ
동북아 다자주의의 모색자료입니다.
동북아다자주의의모색
/
[ 목 차 ]

1. 서론

2.동북아 다자간 협의체의 필요성 및 중층적 구조

(1) 동북아 다자간 협의체의 필요성

(2)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의체의 중층적 구조

3. 동북아 다자주의의 새로운 유형: KEDO와 TCOG

(1)「한반도 에너지 개발기구」(KEDO)

(2)「대북정책조정 감독그룹」(TCOG)

4.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의 가능성, 한계 및 방향

5. 새로운 다자주의의 모색

6. 결론

< 참고문헌 >
/
또한 이러한 안보 협력체는 다음과 같은 방향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즉, ① 상호불신의 해소와 신뢰구축 등의 비군사적 안보협력에 우선적 역점을 두어 상호안심조치(MBM: Mutural Reassurance Measures)와 신뢰구축조치(CBM: Confidence Building Measures)를 실시하고, 나아가 예방외교(preventive diplomacy)와 협력안보로 점진적으로 이행할 것, ② ARF와 같은 Two Track의 병행방식이 바람직함. 즉 NEACD와 같은 비정부 차원의 안보협력을 통해 인식의 공감대를 형성한 후, 정부 차원의 안보협력으로 구체화, 제도화시키는 방향, ③ Track II의 다자안보대화 채널을 최대한 활용하여 Track I 에서의 협력을 촉진할 것. 즉, Track II는 정부수준에서 논의하기 어려운 의제들에 대한 비공식적 의견 교환의 장으로 활용할 것, 등의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역내 국가들의 참여와 협조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

김태현. 1997. 『신동아시아 안보질서』 (서울: 세종연구소 연구총서
97-05).
신욱희. 1997. “다자주의의 동아시아 적용의 문제.” 『한국과 국제정
치』제25호(경남대학교).
엄태암. 2001.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 구상의 논의 경과와 전망.”
국방정책연구(겨울).
외교통상부 외교정책실 안보정책과. 1998.『동북아 다자안보 협력의
현황과 전망』(외교통상부).
윤영관. 2001. “남북한 관계와 동북아 다자협력.” (동아일보 창간 81
주년 기념 한중일 국제학술회의「동북아시아의 평화와 협력」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 2001/4/13) 발표논문.
이정윤. 1999. “한반도 주변국간의 다자안보협력기구에 관한 연구
(중).” 『군사논단』제19호.
정옥임. 1998. “국제기구로서의 KEDO.` 『한국과 국제정치』 제28
호 (경남대학교).
홍현익·이대우 공편. 2001.『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주변 4강』(서
울: 세종연구소).
アジア政経学会、『ニューズレター』15
神谷万丈. 1997. `アジア太平洋における重層的安全保障構造に向かって.`
日本国際政治学会編『国際政治』(115).
菊地努. 1995.『APEC-アジア太平洋新秩序の模索』(東京: 日本国際問
題研究所).
菊地努. 1997. `アジア太平洋地域主義のメカニズムとプロセス.` 日本国際
政治学会編『国際政治』(114).
西原正. 1994. `アジア·太平洋地域と多国間安全保障協力の椊組み.`
『国際問題』(415).
山本吉宣. 1995. `協調的安全保障の可能性-基礎的な考察.` 『国際問
題』(425).
Andrew Mack. 1992. `Security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Prospects and Issues.`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Vol. 11. no. 2 (Summer).
Andrew Mack and Desmond Ball. 1992. “The Military Build-up
in Asia-Pacific.` Pacific Review Vol. 5. no. 3.
C. B. Johnstone. 1999. `Paradigms Lost: Japan`s Asia Policy in a
Time of Growing Chinese Power.` Contemporary Southeast
Asia Vol. 21. no. 3.
Charles A. Kupchan and Clifford A. Kupchan. 1995. `The
Promise of Collective Security.` International Security. Vol.
20. no. 1 (Summer).
Charles Johnson. 1993. `Rethinking Asia.` The National Interest
(No. 3. summer).
Department of Defense. 1995. United States Security Strategy
for the East Asia-Pacific Region (Washington: USGPO).
Harry Harding. 1994. `Cooperative Security in the Asia-Pacific
Region.` in Janne E. Nolan(ed.). Global Engagement:
Cooperation and Security in the 21th Century (Washington.
D. C.: The Brookings Institution)
John Gerald Ruggie. 1992. “multilateralism: The Anatomy of an
Instui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46. no. 3
John Gerald Ruggie. ed.. 1993. Multilateralism Matter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Kent E. Calder. 2001. `The New Face of Northeast Asia.`
Foreign Affairs (Jan/Feb).
Li Luye. 1991. `Current Situation in Northeast Asia.` Beijing
Review (August 19-25).
Michel Yahuda. 1996.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the
Asia-Pacific. 1945-1995 (London: Routledge).
Qian Qichen. 1993. `China Ready to Take Part in Asian Security
Dialogue.` Beijing Review (August).
Ralrh A. Cossa. 1999. US-Korea-Japan Realtions: Building
Toward a `Virtual Alliance`. (Washington D. C: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Richard L. Armitage. 1999. `A Comprehensive Approach to North
Korea.` Strategic Forum. No. 159.
Robert Keohane. 1989. “Multilateralism: An Agenda for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45 (Autumn).
Wang Gungwu. 1999. China and Southeast Asia: Myths. Threats
and Culture. EAI Occasional Paper No. 13 (Singapore:
Singapore University Press).
Wang Jisi. 1993. `East Asia Prospects for Cooperation.` Beijing
Review (July 19-25).
William J. Perry. 1999. `Review of United States Policy Toward


ڷ
ID : ouod*****
Regist : 2014-08-13
Update : 2020-10-12
FileNo : 16159089

ٱ

연관검색(#)
동북아   다자주의   모색  


ȸҰ | ̿ | ޹ħ |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걸 326-6, 201ȣ | ä | : 0561ȣ
Copyright ÷Ʈ All rights reserved | Tel.070-8744-9518
̿ | ޹ħ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Tel.070-8744-9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