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의학이 바라본 인체에 관하여   (1 )
    1

  • 한의학이 바라본 인체에 관하여   (2 )
    2

  • 한의학이 바라본 인체에 관하여   (3 )
    3



  • ̸
    3 Pg
    մϴ.
Ŭ : ũԺ
  • 한의학이 바라본 인체에 관하여   (1 )
    1

  • 한의학이 바라본 인체에 관하여   (2 )
    2

  • 한의학이 바라본 인체에 관하여   (3 )
    3




  • (ū ̹)
    ̸
    3 Page
    մϴ.
Ŭ : ݱ
X ݱ
巡 : ¿̵

한의학이 바라본 인체에 관하여

레포트 > 기타 ٷΰ
ã
Ű带 ּ
( Ctrl + D )
ũ
Ŭ忡 Ǿϴ.
ϴ ֱ ϼ
( Ctrl + V )
 : 한의학이 바라본 인체에 관하여.hwp   [Size : 2 Mbyte ]
з   3 Page
  1,000

īī ID
ٿ ޱ
ID
ٿ ޱ
̽ ID
ٿ ޱ


ڷἳ
한의학이 바라몬 인체에 관하여 조사해 보았습니다. 그림 파일도 첨부되어 있습니다.
한의학이바라본인체에관하여
/

1. 장상학(臟象學)

가. 장상(臟象)이란?
음양학설에 따라서 장(臟)은 음(陰)이고 부(腑)는 양(陽)이다. 또한, 오행학설에 따라서 간담(肝膽)은 목(木), 심소장(心小腸)은 화(火), 비위(脾胃)는 토(土), 폐대장(肺大腸)은 금(金), 신방광(腎膀胱)은 수(水)에 해당한다.
장(臟)은 장(藏)으로부터 유래했으며 그것은 신체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또, 왜 상(象)이라고 했는가? 그것은 장(臟)은 안에 있어서 직접 볼 수가 없고 그것의 상태를 짐작할수 있는 인체 외부에 드러나는 여러 징조들을 의미한다.
☞ 이번 학기 가장 처음에 배운, ‘생활 속의 한의학’의 내용을 상기해보자.

나. 장상학의 구성

오장(五臟) : 간(肝), 심(心), 비(脾), 폐(肺), 신(腎)
육부(六腑) : 담(膽), 소장(小腸), 위(胃), 대장(大腸), 방광(膀胱), 삼초(三焦)
기항지부(奇恒之腑) : 뇌(腦), 수(髓), 골(骨), 맥(脈), 담(膽), 여자포(女子胞)
옛 문헌에서 장(臟)과 부(腑)는 어떻게 설명하고 있나?
`소위 오장이라는 것은 정기(精氣)를 저장하고 사(瀉)하지 않으므로 가득차도 실(實)하지 않고 육부라는 것은 수곡(水穀)을 소화, 흡수, 전송하나 저장하지는 않는 곳이기 때문에 실(實)하다고 해도 가득차지는 않는다.(所謂五臟者, 藏精氣而不瀉也, 故滿而不能實, 六腑者, 傳化物而不藏, 故實而不能滿也)`{소문 오장별론(五臟別論)}
`소위 오장이라는 것은 정기(精氣)를 저장하고 사(瀉)하지 않으므로 음정(陰精)은 충만하나 수곡(水穀)은 충실하지 않고, 육부라는 것은 수곡(水穀)을 소화, 흡수, 전송하나 저장하지는 않는 곳이기 때문에 수곡은 충실하나 음정은 충만하지 않다.
2. 경락과 경혈
고대에 기혈(氣血)의 운행 경로로 상정된, 체내에…(생략)


ڷ
ID : bjsc******
Regist : 2014-08-20
Update : 2014-08-20
FileNo : 16134454

ٱ

연관검색(#)
한의학   바라본   인체  


ȸҰ | ̿ | ޹ħ |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걸 326-6, 201ȣ | ä | : 0561ȣ
Copyright ÷Ʈ All rights reserved | Tel.070-8744-9518
̿ | ޹ħ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Tel.070-8744-9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