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1 )
    1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2 )
    2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3 )
    3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4 )
    4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5 )
    5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6 )
    6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7 )
    7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8 )
    8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9 )
    9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10 )
    10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11 )
    11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12 )
    12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13 )
    13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14 )
    14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15 )
    15



  • ̸
    15 Pg
    մϴ.
Ŭ : ũԺ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1 )
    1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2 )
    2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3 )
    3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4 )
    4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5 )
    5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6 )
    6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7 )
    7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8 )
    8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9 )
    9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10 )
    10




  • (ū ̹)
    ̸
    10 Page
    մϴ.
Ŭ : ݱ
X ݱ
巡 :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

레포트 > 인문사회 ٷΰ
ã
Ű带 ּ
( Ctrl + D )
ũ
Ŭ忡 Ǿϴ.
ϴ ֱ ϼ
( Ctrl + V )
 : 일본어와 한국어의 외래어의 대조.hwp   [Size : 81 Kbyte ]
з   15 Page
  1,500

īī ID
ٿ ޱ
ID
ٿ ޱ
̽ ID
ٿ ޱ


ڷἳ
본고는 일본어외래어의 음운과 표기를 한국어와 대조의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시도이며 형태음운론적 비교와 의미의 대조에 대해서는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미루기로 했다.
/

Ⅰ. 들어가기

Ⅱ. 일본어외래어

Ⅱ.1. 일본어의 어휘구조
Ⅱ.2. 외래어의 음운과 표기

Ⅲ. 한국어외래어

Ⅲ.1. 외래어 표기법
Ⅲ.2. 외래어의 음운과 표기

Ⅳ. 한·일 외래어음의 대조

Ⅳ.1. 유사점
Ⅳ.2 차이점

Ⅴ. 맺는말

/
외래어는 문의 의미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고유어에 비해 정보량이 많다는 이유로 지적전달을 위한 어휘들로서 자주 사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대량 보급과 더불어 키워드로서 많이 쓰여지고 있다.
정지영(1955; 38-49)의 조사에서는 일본인들의 외래어 수용의식에 대하여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나타났다. 외래어는 ‘경쾌한 말’(30.1%), ‘지식층이 사용하는 말’(18.0%), ‘능률적인 말’(19.3%) 이라는 마이너스 이미지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수용의식과는 다르게 실제 생활에 있어서는 외래어는 기능적이며 신선한 느낌을 준다고 하며 상업주의와 결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는 분별없이 그 사용량이 급증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野村雅昭(1984; 42)는 新語辞典인 「現代用語の基礎知識」(自由国民社)의 1960년 판과 1980년 판에 수록된 見出し語 색인을 분석하여 語種의 구조의 변화를 보고한 바 있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대일본어에서 사용되는 新語에서 외래어의 사용은 한어를 상회하고 있고 1960년과 1980년 사이에 14.5%의 급증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野村의 같은 조사에서 1960년 판과 1980년 판에 추가된 見出し語 17,679語를 어종 별로 분석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여기서 우리는 외래어가 현대일본어의 어휘체계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과 동시에 1960년에서 1980년 사이에 다른 어종의 어휘에 비해 급격한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음에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고유어는 새로운 문물에 대해 訳語로 고치기 어렵다는 이유로 해서 점점 그 세력이 약해졌고 외래어가 현대어의 어휘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Ⅱ.2. 외래어의 음운과 표기

외래어의 어휘가 일본어에 들어올 때 외국의 나라이름, 지명, 인명 등의 경우에는 原音에 충실하려고 하는 원음주의를 따르게 되며 그 밖에는 일본어의 음운체계에 맞게 일본어음…(생략)
日文抄録

○ 新しい概念や言葉が外国から流入してくる場合, それらは飜訳され, 受け入れ国の従来の語彙や音韻, 表記体系に合わせて受容される。しかし, そういった飜訳には限界がある。そして, 新しい情報と感覚をありのまま受け入れようとする受容意識が現代言語生活において次第に増加している。すなわち, 現代日本語と現代韓国語において外来語の語彙の借用現象は「外来語の氾濫」とも言われるほど急増している。
○ 本稿は韓·日外来語の音韻と表記上の対照を通じて, その類似点と差異を明らかにするための試みである。
○ 類似点としては,
① 外来語の音に充実であろうとする原音主義に従って借用される。
② 英語の子音 rとl, sとth, bとvなどが韓国語と日本語においては一つの子音として統合される。
③ 音節の省略現象が現れる。強弱アクセントの体系である英語で強勢のない部分が省かれる。
○ 差異としては,
① 日本語の5母音体系を通じては, 英語や韓国語の数多い母音を原音通りに表記するのが難しい。そのことから, 1990年の外来語表記改正案においては外来語のための33の音節が追認されることになった。
② 日本語では長母音と短母音が区別されるが, 韓国語の場合は長母音と短母音は表記上区別されない。そのため日本語における外来語の語彙の長母音は学習上難解な項目となっている。
③ 韓国語の代表的音節はCVC型であり, 日本語の場合はCV型であるため, 英語や韓国語の閉音節は日本語では母音を追加して開音節化される。
④ 和製英語と言われる日本式外来語は借用語レベルを超え, 造語法にまで発展し, さらには統辞レベルにまで影響を及ぼしている。

참고문헌

• 「朝日キ-ワ-ド95-96」, 1995, 朝日新聞社編
• 石野博史, 1983, 「現代外来語考」, 大修館書店
• 石綿敏雄, 「日本のなかの外来語」岩波新書 296, 岩波書店
• 日本語教育指導参考書16, 1990, 「外来語の形成とその教育」, 国立国語研究所
• 「現代用語の基礎知識」, 1997, 自由国民社
• 近藤芳美, 1984, 「和語, 漢語, 外来語」, 日本語学 9月号 Vol 3, 明治書院
• ことばシリ-ズ 4 「外来語」, 1976, 文化庁
• 矢崎源九郎, 1964, 「日本の外来語」, 岩波新書
• 김숙자, 1997, 「일본어 외래어의 음성적 특질」, 일어일문학연구 제30집, 한국일어일문학회
• 김원익, 1991, 現代日本語音節に関する考察,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 김재영, 1993, 日本外来語音に関する研究, 한양일본학 제1호, 한양대학교 일본학회
• 이희승·안병희, 1989,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 정지영, 1995, 「韓日両国語における外来語の受容意識について」, 경북대학교 대학원


ڷ
ID : rimm******
Regist : 2015-12-18
Update : 2015-12-18
FileNo : 16123273

ٱ

연관검색(#)
일본어   한국어   외래어   대조  


ȸҰ | ̿ | ޹ħ |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걸 326-6, 201ȣ | ä | : 0561ȣ
Copyright ÷Ʈ All rights reserved | Tel.070-8744-9518
̿ | ޹ħ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Tel.070-8744-9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