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1 )
    1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2 )
    2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3 )
    3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4 )
    4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5 )
    5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6 )
    6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7 )
    7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8 )
    8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9 )
    9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10 )
    10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11 )
    11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12 )
    12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13 )
    13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14 )
    14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15 )
    15



  • ̸
    15 Pg
    մϴ.
Ŭ : ũԺ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1 )
    1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2 )
    2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3 )
    3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4 )
    4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5 )
    5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6 )
    6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7 )
    7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8 )
    8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9 )
    9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10 )
    10




  • (ū ̹)
    ̸
    10 Page
    մϴ.
Ŭ : ݱ
X ݱ
巡 :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페적균형의 비교연구

레포트 > 인문사회 ٷΰ
ã
Ű带 ּ
( Ctrl + D )
ũ
Ŭ忡 Ǿϴ.
ϴ ֱ ϼ
( Ctrl + V )
 : [A+] 빅셀(Wicksell), 케인즈(Keynes), 마르크스(Marx)에 있어서의 화~.hwp   [Size : 56 Kbyte ]
з   23 Page
  1,800

īī ID
ٿ ޱ
ID
ٿ ޱ
̽ ID
ٿ ޱ


ڷἳ
마르크스(Marx)의 노동가치이론을 위의 빅셀적인 화폐적 균형에 적용하고자 하는데 적어도 이자율 결정의 이론에 관한 한 우리도 케인즈(Keynes)의 외생변수적 관점을 그대로 수용할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불환지폐제도를 노동가치이론의 체계 속에서 어떻게 설명해야 옳은가 (화폐의 내재적 가치의 존재야말로 마르크스 화폐이론에서는 필수적이었다), 재생산과정과 화페공급의 관게를 어떤 식으로 설명할 것인가에 논의의 촛점을 두고자 한다.
그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빅셀(Wicksell)의 세가지 균형 조건을 마르크스(Marx)의 확대 재생산표식에 적용하여 ‘유통자본국면에서의 균형’, ‘생산자본국면에서의 균형’, ‘유통공비(流通空費: faux frais de production)의 안정’이라는 상이한 세 조건에 각기 대응함을 밝힐 것이다.
Wicksell
/

1. 머리말

2. 빅셀(Wicksell)의 화폐적 균형

3. 케인즈의 화폐적 균형

3.1. 신고전파적 종합과의 차이
3.2.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이론 (화폐적 균형에 관한 분석)
3.3. 이자율과 환율의 변동

4. 마르크스의 화폐적 균형

4.1. 재생산 체계 내에서의 화폐의 위치
4.2 화폐가치와 인플레이션
4.3. 관리통화제도 하에서의 화폐가치
4.4. 두 종류의 사적(私的)신용

4.5. 빅셀과 재생산과정의 세 국면

5. 맺는말
/
이자율의 변화하면 자본재와 소비재의 상대가격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립화폐가 성립 불가능한 개념인 것은 화폐적 균형이 성립해도 마찬가지이다. 즉, 화폐가 이자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물가수준 뿐만 아니라 상대가격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이 상대가격체계의 변화는 다시 생산량을 변화시킨다. 물가안정정책이 추구될 경우 화폐량의 변화가 필요하겠지만 이것이 상대가격과 생산량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안정된 물가 하에서도 상대가격체계가 변화할 수 있고 물가가 변화하더라도 상대가격은 안정적일 수 있다. 따라서 물가가 안정적이라고 해서 화폐를 중립적인 위치에 머물러 있다고 보면 곤란하다.

3. 케인즈의 화폐적 균형

3.1. 신고전파적 종합과의 차이
우리가 지금까지 논의한 빅셀의 화폐적 균형은 어디까지나 완전고용을 전제로 한 정상적(定常的: station- ary)인 경제에서의 장기적 균형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케인즈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단기에서의 완전고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의 화폐적 균형을 다루고 있다. 그의 거시모델을 앞서 각주 (12)에서 보인 빅셀의 모델과 대비시켜 예시한다면 아래와 같아지는데 그 특징을 들자면 우선 첫째로 자연이자율 개념을 부정하고 대신 관습적인 화폐이자율을 외생변수로 도입하고 있다는 점과 둘째로는 노동시장의 균형조건이 여기서는 아무 역할도 못하고 있는 점이다.
y=y(K, N), (1+ρ)w/p=f(py/N), I=I(ṝ), M=m (ṝ, y), C=C (ṝ, y), y=C+I
여기서 내생변수는 N, y, p, C, I, M이고 외생변수는 K, ρ, ṝ, w/p 이다.
이는 종래 케인즈경제학에 관한 전통적인 해석(신고전파적 종합)과 세가지 점에서 상치되고 있다. 첫째, 종래의 해석에서는 노동시장의 균형조건이 총공급함수를 결정하여 고용과 물가수준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여기서는 아무 역할을 못한다. 둘째, 종래의 해…(생략)
• Arnon, A. 1984, `Marx`s theory of Money; the formative years` in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vol 16, no 4, Winter.
• Asimakopulos, A. 1982, `Keynes` theory of effective demand revisited` in Australian Economic Papers, .no 21, pp 18-36.
• Botha, D. J. 1959, A Study in the Theory of Monetary Equilibrium, a comparative analysis, H. E. Stenfert Kroese N. V., Leiden.
• Carmichael, J. and Stebbing, P.W. 1983, `Fisher`s Paradox and the Theory of Interest` in American Economic Review, no 73, pp 619-630.
• Chick, V 1983, Macroeconomics after Keynes, Philip Allan, London.
• de Jong, F. J. 1956, `The concept of monetary equilibrium and its relation to Post-Keynesian economics` in Weltwirtschaftliches Archiv, 1956, Band 77, Heft 1.
• Duffie, D. 1990, `Money in general equilibrium theory` in Handbook in Monetary Economics, B. M. Friedman and F. H. Hahn ed. Elsevier Science publishers, …


ڷ
ID : jynj*****
Regist : 2014-06-25
Update : 2014-06-25
FileNo : 16097000

ٱ

연관검색(#)
A+   빅셀   Wicksell   케인즈   Keynes   마르크스   Marx   있어서   화페적균형   비교연구  


ȸҰ | ̿ | ޹ħ |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걸 326-6, 201ȣ | ä | : 0561ȣ
Copyright ÷Ʈ All rights reserved | Tel.070-8744-9518
̿ | ޹ħ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Tel.070-8744-9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