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1 )
    1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2 )
    2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3 )
    3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4 )
    4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5 )
    5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6 )
    6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7 )
    7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8 )
    8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9 )
    9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10 )
    10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11 )
    11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12 )
    12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13 )
    13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14 )
    14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15 )
    15



  • ̸
    15 Pg
    մϴ.
Ŭ : ũԺ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1 )
    1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2 )
    2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3 )
    3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4 )
    4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5 )
    5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6 )
    6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7 )
    7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8 )
    8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9 )
    9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10 )
    10




  • (ū ̹)
    ̸
    10 Page
    մϴ.
Ŭ : ݱ
X ݱ
巡 :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

레포트 > 인문사회 ٷΰ
ã
Ű带 ּ
( Ctrl + D )
ũ
Ŭ忡 Ǿϴ.
ϴ ֱ ϼ
( Ctrl + V )
 : 한말유학의 양대 조류정통의 화이(화이)론과 유교 개조론.hwp   [Size : 47 Kbyte ]
з   18 Page
  2,000

īī ID
ٿ ޱ
ID
ٿ ޱ
̽ ID
ٿ ޱ


ڷἳ
양대322
/
우리는 이제까지의 기술을 통하여, 전통적 한국유학의 특성은 주자학 연구의 심화를 기초로한 절대적 중화중심주의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이들의 일관된 세계관은 서세동점의 과정 속에서 개화적대적인 중화문화중심적 보수주의의 한계를 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이 아무리 결연한 항일민족주의의 투사로 변신했다할지라도 그들은 중화문화에서 독립하는 한국의 독자적인 문화근거를 찾을 수도 제시할 수도 없었다. 유교개량주의의 입장에서 중국의 공자교운동을 우리의 민족혼을 살리는 길로 인식하고 망명지인 만주에서나 국내에서 벌린 공자교운동도 마찬가지로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 유학정신을 우리 문화의 주체적 내용으로 인정하면서, 바로 현실에 맞는, 말하자면 서방의 우세한 기술문명을 소화해낼 수 있는 우리의 정신적 역량을 번쇄(번쇄)한 주자학에서가 아니라 -- 주체적 양심[양지]에 따른 간결 명료한 실천을 역설하는 -- 양명학에서 찾았던 박은식이나 전통적인 유교의 정치원칙에 따라 민심을 얻을 수 있는 신의의 정치를 역설한 금윤식의 유교개량론은 -- 조선조의 멸망과 함께 -- 모두 이를 실천해낼 공간이 일제에 의해 강탈당했기 때문에 더 이상 실행에 옮겨질 수가 없었다. 여하튼, 한말에서 20세기 초반까지 아직도 한국의 정신세계를 지배하였던 이런 여러 갈래의 유교이념의 운동들은 -- 그들이 서구문물의 유입에 강렬한 저항의식을 가지고 결연히 대결하였지만 -- 결국 당시 제국주의의 식민지 수탈을 극복해내고 또한 스스로 현대적 산업사회를 구축할 수 있는 유교본위의 신문명을 창출해낼 수는 없었다.
사실 유교의 윤리정신은 근대 이전에 형성되어 온 낙후된 전통적인 생활양식 속에서 배양되어 나온 것이기 때문에, 과거 사회의 인간관계를 옹호하고 유지시키려는 유교의 보수적인 한계성은 어쩔 수 없는 시대적인 제약인 것이다. 그 대표적인 것이 특히 가부장적인 권위의식, 또는 여성차별적인 남성중심주의의 사상이 그러하다. 따라서 이런 구시대적인 제약에서 자신을 해방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유교이념이…(생략)

<문집류>:

이항로, {화서집} 32권16책, 부록7권5책, 1899;
{화서선생문집}, 서울(조룡승영인본), 1974
금평묵, {중암선생문집}, 서울(종우사 영인본), 1975;
{중암선생별집}, 서울(종우사 영인본), 1976
유중교, {성재집}, 서울(조룡승영인본), 1974
최익현, {면암집}, 서울(경인문화사 영인본), 1976
유린석, {의암집}, 서울(경인문화사 영인본), 1973
전우, {간재사고} 62권, 서울(아세아문화사 영인본), 1984
{추담별집}, 상해, 1929
기정진, {노사선생문집}, 서울(경인문화사 영인본), 1988
기우만, {송사선생문집}, 서울(경인문화사 영인본), 1989
곽종석, {면우집 }, 서울(면우집간행소), 1925
이승희, {한계유고}, 서울(국사편찬위원회), 1977-1982
이병헌, {진암전서}, 서울(아세아문화사 영인본), 1989
박은식, {박은식전서} 상/중/하권, {동양학전서}제사집,
서울(단국대학교부설 동양학연구소), 1975
금윤식, {금윤식전집}상/하권, 서울(아세아문화사), 1980
{음청사}, 서울((국사편찬위원회), 1960
{속음청사}, 서울(국사편찬위원회), 1960


<단행본>:

현상윤, {조선유학사}, 서울(현음사), 1986
한국철학회편, {한국철학사} 하권, 서울(동명사), 1987
유명종, {한국의 양명학}, 서울(동화출판사), 1983
금장태/고광직, {유학근 백년}, 서울(박영사), 1986
{속유학근 백년}, 서울(여강출판사), 1989
한국인물유학사편찬위원회편, {한국인물유학사}권4, 서울(Hangil사), 1996
금장태, {한국유학사의 이해}, 서울(민족문화사), 1994
{한국근대사상의 도전}, 서울(전통문화연구회), 1995
유준기, {한국근대유교개혁운동사}, 서울(도서출판삼문), 1994
신용하, {한국근대사회사상사연구}, 서울(일지사), 1989
{박은식의 사회사상연구}, 서울(국립서울대학교출판부),1974
한영우, {한국민족주의력사학}, 서울(일조각), 1994

이상익, {서구의 충격과 근대한국사상}, 한울, 1997
지교헌/송석준/금경일, {한국사상가의 새로운 발견(3) - 곽종석연구 -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지교헌, {한국의 교육과 윤리}제일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논문류>:

정규훈, [일제기한국유학개혁의 동향], {정신문화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25호, `85, 5.
금장태, [한말-일제하 한국성리학파의 사상계보와 문헌에 관한 연구],
{철학사상의 제문 제Ⅲ}, 한국정신문화연구원, `85, 3.
금장태, [근대유교개혁사상의 유형과 사상사적 전개],{국사관론총}2집, `89, 10.
금영철, 근대의 윤리사상,{한국륜리사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5.
곽신환, [화서 이항로의 서학관], {논문집}(서울,숭실대학교) 16집(인문과학편), 1986, 12
윤용남, [화서 이항로의 척사위정론에 대한 철학적 해석], {국학연구},
한국, 국학연구소, 2집, 1988.10
금기승, [백암 박은식의 사상적변천과정-대동사상을 중심으로-], {역사학보}(한국,
역사학회발행)114호, 1987, 6.
이광린, [구한말 관서지방 유학자의 사상적 전회-운암, 성암의 제자를 중심으로],
{두계 이병도박사 구순기념 한국사학론총}(서울,지식산업사), `87, 9.
이상곤, [노사 기정진의 이일분수관], {원불교사상}(한국,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10/11호, `87, 6.
유준기, [박은식의 생애와 학문 -그의 유교개혁운동을 중심으로-],
{산운사학](한국, 산운학술문화재단) 2집, `88, 4;
[강유위사상대한국유교개혁적영향-이공자교위중심], {한국학보}(태북,
중화민국한국연구학회) 9기, `90, 6.
이상일, [운양 금윤식의 정치사상연구], {태동고전연구}(한림대학교
부설태동고전연구소) 6집, `90, 2.
금기승, [한말유교지식인의 사상전환과 그 논리-석주 이상룡의 경우],
{민족문화] 4집, `89.12, (서울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박진태, [개신유학계열의 외세대응방식-석주 이상룡의 사상과 행동을 중심으로-],
{국사관론총}(한국, 국사편찬위원회), 15집, `90, 9.
성대경, [보수유생의 `자정론`과 외세대응양식-간재 전우의 사상과 행동을 중심으로`], 상동
송재소, [중산 박장현연구 시론], {국사관론총}(한국, 국사편찬위원회), 37집, `92, 10.
권정안/양재열/지교헌, [호산 박문호연구], {한국사상가의 새로운 발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이광린, [구한말 신학과 구학과의 논쟁], {동방학지} 23/24호, 1980
조동걸, [안동유림의 도만경위와 독립운동상의 성향], {대구사학}
(대구사학회) 15/16집, 1978
남부희, [3.1운동과 유교계의 성격], {경대사론} 3, 1987
송영배, [홍대용의 상대주의적 사유와 변혁의 논리], {한국학보} 74집, 통권20권1호, 1994


ڷ
ID : msjm*****
Regist : 2013-07-05
Update : 2013-07-05
FileNo : 16096029

ٱ

연관검색(#)
한말유학   양대   조류:정통   론과   유교   개조론   조류정통  


ȸҰ | ̿ | ޹ħ |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걸 326-6, 201ȣ | ä | : 0561ȣ
Copyright ÷Ʈ All rights reserved | Tel.070-8744-9518
̿ | ޹ħ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Tel.070-8744-9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