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구연   (1 )
    1

  • 육구연   (2 )
    2

  • 육구연   (3 )
    3

  • 육구연   (4 )
    4

  • 육구연   (5 )
    5

  • 육구연   (6 )
    6

  • 육구연   (7 )
    7

  • 육구연   (8 )
    8

  • 육구연   (9 )
    9

  • 육구연   (10 )
    10

  • 육구연   (11 )
    11

  • 육구연   (12 )
    12

  • 육구연   (13 )
    13

  • 육구연   (14 )
    14



  • ̸
    14 Pg
    մϴ.
Ŭ : ũԺ
  • 육구연   (1 )
    1

  • 육구연   (2 )
    2

  • 육구연   (3 )
    3

  • 육구연   (4 )
    4

  • 육구연   (5 )
    5

  • 육구연   (6 )
    6

  • 육구연   (7 )
    7

  • 육구연   (8 )
    8

  • 육구연   (9 )
    9

  • 육구연   (10 )
    10




  • (ū ̹)
    ̸
    10 Page
    մϴ.
Ŭ : ݱ
X ݱ
巡 : ¿̵

육구연

레포트 > 기타 ٷΰ
ã
Ű带 ּ
( Ctrl + D )
ũ
Ŭ忡 Ǿϴ.
ϴ ֱ ϼ
( Ctrl + V )
 : 육구연.hwp   [Size : 49 Kbyte ]
з   14 Page
  1,500

īī ID
ٿ ޱ
ID
ٿ ޱ
̽ ID
ٿ ޱ


ڷἳ
젊은 시절에 이르기까지 불교에 빠져 있던 주희는 이통(1088-1158)을 만나면서 유학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통은 주희에게 `본체는 하나이지...
/
젊은 시절에 이르기까지 불교에 빠져 있던 주희는 이통(1088-1158)을 만나면서 유학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통은 주희에게 `본체는 하나이지만 그에 근거해서 드러나는 현상은 다양하다.(理一分殊) 본체가 하나라는 점은 이해하기 어렵지 않지만 현상의 다양성이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다. 그러므로 日常事에서 공부를 하도록 하라.`는 것과 `未發의 氣象을 體認할 것`을 가르친다. 이 두 가지 가르침은 모순되어 보인다. 이통의 가르침에서 마음으로 드러나지 않았을 때(未發)라는 것은 본체에 해당한다. 일상사(分殊)에서 힘쓰는 것과 본체를 체득하는 것이 떻게 공존할 수 있는 것인가? 그러나 주희가 이 가르침을 충분히 이해하기 전에 그는 죽고 만다. 이후에 주희는 張?과 中和에 대한 토론을 거쳐 자신의 정론을 확립하게 된다.
주희는 장식의 영향을 받아 호남학의 심성론을 받아들인다. 호남학에서는 정호와 같이 따라 性(理)은 形而上이기 때문에 지각과 사려를 초월해 있으며, 오직 현실적인 마음의 근거가 될 뿐이라고 한다(性體心用). 그리고 우리의 마음에 知覺이 끊기는 적은 없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未發을 性과 동일시한다. 性으로서의 未發은 지각과 사려를 초월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공부는 현실적인 사태 속에서 드러난 마음(已發)에서만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知覺과 思慮가 발동하기 이전인 未發과 그것이 발동한 상태인 已發은 시간적인 선후를 나눌 수 없는 것이 된다. 이 시기에 있어서는 정호의 노선을 따라 다양한 사태 속에서 道理를 체득할 것이 강조된다. 주희에게 이 시기는 이통의 가르침에서 `未發의 氣象을 體認하라`는 측면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陸象山全集}, 北京, 中華書局, 1992

{朱熹集}, 成都, 四川敎育出版社, 1996

{二程集}, 漢京文化事業有限公司

{宋元學案}, 臺北, 新文豊出版公社, 1987

徐復觀, {中國人性論史},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90

束景南, {朱子大傳}, 福建敎育出版社, 1992

錢穆, {朱子新學案}, 臺北, 學生書局, 1980

陳來, {朱熹哲學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8

島田虔次, 김석근 역,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1990

A. C. Graham, Two Chinese Philosophers, London, Lund Humphries, 1958

Chung Tsai-chun,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s of Heaven and Man in the Philosophy of Chu Hsi, 臺北, 中央硏究院 中國文哲硏究所, 1993

Richard Taylor, 엄정식 역, {形而上學}, 종로서적, 1988

Wing-tsit Chan, Chu Hsi and Neo-Confucianism,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6

손영식, [송대 신유학에서 철학적 쟁점의 연구], 서울대 철학과 박사학위 논문, 1993

안점식, [張載의 氣 철학에 있어서 天人合一의 구조], 서울대학교 철학과 석사학위논문, 1987

장원목, [北宋 性理學에 있어서 有와 無의 문제], {철학논구}, 25집, 서울대 철학과, 1997

장원목, [性理學 本體論의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철학과 박사학위논문, 1998



ڷ
ID : losk*****
Regist : 2015-03-11
Update : 2015-03-11
FileNo : 16051493

ٱ

연관검색(#)
육구연  


ȸҰ | ̿ | ޹ħ |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걸 326-6, 201ȣ | ä | : 0561ȣ
Copyright ÷Ʈ All rights reserved | Tel.070-8744-9518
̿ | ޹ħ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Tel.070-8744-9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