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1 )
    1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2 )
    2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3 )
    3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4 )
    4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5 )
    5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6 )
    6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7 )
    7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8 )
    8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9 )
    9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10 )
    10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11 )
    11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12 )
    12



  • ̸
    12 Pg
    մϴ.
Ŭ : ũԺ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1 )
    1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2 )
    2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3 )
    3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4 )
    4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5 )
    5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6 )
    6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7 )
    7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8 )
    8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9 )
    9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10 )
    10




  • (ū ̹)
    ̸
    10 Page
    մϴ.
Ŭ : ݱ
X ݱ
巡 :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레포트 > 인문사회 ٷΰ
ã
Ű带 ּ
( Ctrl + D )
ũ
Ŭ忡 Ǿϴ.
ϴ ֱ ϼ
( Ctrl + V )
 :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hwp   [Size : 32 Kbyte ]
з   12 Page
  2,000

īī ID
ٿ ޱ
ID
ٿ ޱ
̽ ID
ٿ ޱ


/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목 차

1. 창세가(創世歌)

2. 천지왕본풀이

3. 당금애기

4. 한국 무속신화와 `당금애기` `바리데기`

`무가`
1. 창세가(創世歌)
해설 : 함흥지역에서 전래돼 온 서사무가로, 세상의 창조와 인간의 탄생, 인간세상 주인 다툼 등의 내용을 두루 담고 있다. 우리 창세 신화의 한 원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신의 이름이 `미륵`과 `석가`로 돼있어 후대의 것으로 보이기도 하나, 그 이름은 후대에 채택된 것으로 보는 것이 상례다.
출처 : 이 자료는 1923년 8월 12일에 함남 함흥군 운산면 본궁리에서 김쌍돌이(68세)가 구연한 것이다. 원문은 손진태, ``조선신가유편``, 동경:향토연구사, 1930에 실려 있다.
하늘과 땅이 생길 적에 / 미륵(彌勒)님이 탄생(誕生)한즉, / 하늘과 땅이 서로 붙어, / 떨어지지 아니하소아, / 하늘은 북개 꼭지처럼 도드라지고 / 땅은 ...
/
[국문학] 창세가, 천지왕본풀이, 당금애기, 바리데기

목 차

1. 창세가(創世歌)
2. 천지왕본풀이
3. 당금애기
4. 한국 무속신화와 `당금애기` `바리데기`

`무가`

1. 창세가(創世歌)

해설 : 함흥지역에서 전래돼 온 서사무가로, 세상의 창조와 인간의 탄생, 인간세상 주인 다툼 등의 내용을 두루 담고 있다. 우리 창세 신화의 한 원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신의 이름이 `미륵`과 `석가`로 돼있어 후대의 것으로 보이기도 하나, 그 이름은 후대에 채택된 것으로 보는 것이 상례다.

출처 : 이 자료는 1923년 8월 12일에 함남 함흥군 운산면 본궁리에서 김쌍돌이(68세)가 구연한 것이다. 원문은 손진태, ``조선신가유편``, 동경:향토연구사, 1930에 실려 있다.

하늘과 땅이 생길 적에 / 미륵(彌勒)님이 탄생(誕生)한즉, / 하늘과 땅이 서로 붙어, / 떨어지지 아니하소아, / 하늘은 북개 꼭지처럼 도드라지고 / 땅은 사(四)귀에 구리기둥을 세우고. / 그때는 해도 둘이요, 달도 둘이요. / 달 하나 떼어서 북두칠성(北斗七星) 남두칠성(南斗七星) 마련하고, / 해 하나 떼어서 큰 별을 마련하고, / 잔 별은 백성(百姓)의 직성(直星) 별을 마련하고, / 큰 별은 임금과 대신(大臣) 별로 마련하고.

미륵님이 옷이 없어 짓겠는데, 감(옷감)이 없어, / 이 산 저 산 넘어가는, 버들어(뻗어) 가는 / 칡을 파내어, 베어내어, 삼아내어, 익혀내어, / 하늘 아래 베틀 놓고 / 구름 속에 잉아 걸고, / 들고 꽝꽝, 놓고 꽝꽝 짜내어서, / 칡 장삼(長衫)을 마련하니, / 전필(全匹)이 지개요, 반필(半匹)이 소맬러라. / 다섯 자(尺)가 섶일러라, 세 자가 깃일너라. / 머리 고깔 지을 때는 / 자 세 치를 떼쳐내어 지은즉은, / 눈 무지(아래)도 아니 내려라, / 두자 세치를 떼쳐내어, 머리 고깔 지어내니, / 귀 무지도 아니 내려와 / 석자 세치 떼쳐내어, 머리 고깔 지어내니, / 턱 무지에를…(생략)


ڷ
ID : leew*****
Regist : 2013-12-19
Update : 2013-12-19
FileNo : 13121997

ٱ

연관검색(#)
사회과학   국문학   창세   천지왕본풀   당금애기   바리데기  


ȸҰ | ̿ | ޹ħ |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걸 326-6, 201ȣ | ä | : 0561ȣ
Copyright ÷Ʈ All rights reserved | Tel.070-8744-9518
̿ | ޹ħ olle@olleSoft.co.kr
÷Ʈ | : 408-04-51642 | Tel.070-8744-9518